전국 5개 도시서 FTA 활용기업 원산지검증 대응 설명회 개최

관세청-대한상의, 수출기업 원산지검증 대응 전략 제시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17-05-24 19:01:27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6월 1일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이하 FTA) 발효 10주년을 맞이해 5월 24일부터 6월 9일까지 전국 주요 5개 도시에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설명회’를 개최한다. 

 

관세청이 대한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설명회에서 관세청은 FTA 상대국 동향, 수출검증 사례 및 협정별 원산지 규정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그 동안 제기되었던 FTA 통관애로 해소사례를 안내해 우리 수출기업들의 원산지 검증 대응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또한, 원산지증명서 발급기관 중 하나인 대한상공회의소는 협정별로 원산지증명서 요건 및 발급절차 등을 설명함으로써, 원산지 위반에 따른 기업들의 불이익을 사전에 예방할 예정이다. 

 

한-아세안은 작년 8월 한국-콜롬비아 FTA 발효에 따라 총 15개 협정에 52개국과 FTA 대상 물품의 교역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 수출물품에 대한 상대국 세관의 원산지 검증요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당수의 우리 수출기업은 원산지 검증경험 및 FTA 관련 지식이 부족해 원산지 검증에 대한 대비가 취약한 실정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양 기관은 이러한 어려움을 겪는 수출기업을 위해 원산지 검증에 대비한 준비사항 및 위기관리 방안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특히 우리 수출물품이 FTA 상대국에서 특혜관세를 적용받은 경우에도 원산지 위반 사실이 발견되거나 해당 협정에 따른 절차를 준수하지 않으면 특혜관세 적용이 배제되고 이에 따른 상대국 수입업체와 분쟁이 발생하거나 무역 거래가 단절될 위험이 있는 만큼 수출기업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강조할 방침이다. 

 

또한, 한미 FTA에서도 자동차, 섬유 등 지난해부터 특혜 폭이 커진 품목에 대한 본격적인 원산지 검증이 예상되므로 우리 기업의 보다 철저한 원산지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도 인식하게 할 방침이다. 

 

한편 설명회는 서울(5.24)을 시작으로 광주(5.30)‧인천(5.31)‧대구(6.1)‧부산(6.9) 상공회의소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해당지역 본부세관 수출입기업지원센터에 문의하거나 상공회의소에 신청하면 된다.

▲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설명회 일정  © 조세플러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