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영 의원, ‘국선관세사’ 첫 도입 추진…관세전쟁 중소기업 지원 나선다
- 공익관세사 인원 49% 급감 자원봉사 한계 봉착,‘상근 국선관세사’필요
각 지방세관 상근 배치, 중소기업 맞춤형 관세 컨설팅·법률지원 체계 구축
정일영 의원 “국선관세사 제도, 중소기업 수출 버팀목 될 것" -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10-20 11:20:22
![]() |
기존 공익관세사 제도는 자원봉사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전문성 부족과 인력 감소로 중소기업의 관세 애로를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공익관세사 수는 2020년 80명에서 2025년 41명으로 약 49% 급감했고, 상담 건수도 연간 약 200건 수준으로 1인당 3~4개 기업 지원을 도울 수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각 지방세관에 상근 국선관세사를 배치하는 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다. 국선관세사는 관세 행정 전문성을 바탕으로 수출입 기업의 통관, 품목분류, FTA 활용, 관세 환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시 맞춤형 상담과 법률 자문을 제공하게 된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미·중 관세 갈등 심화로 인해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이 위협받는 가운데 국선관세사 제도는 중소기업의 수출 안정망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일영 의원은 “국선관세사 제도를 통해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관세 컨설팅과 법률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관세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수출 환경을 조성하겠다”며,“자격 요건, 선발 절차, 업무 범위, 보수 체계 등 법적 근거를 명확히 마련해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정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관세청을 상대로 제도 준비상황과 시행 계획을 면밀히 점검하겠다”며“이번 제도가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