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공개 안 한다…2년 연속 공개 미루는 가상자산 통계

2022년 시험조사 이후 한 차례도 공개 안 한 통계청. 다른 통계와의 괴리로 발표 미뤄
024년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이용자 970만명, 시가총액 107.7조 원
김영진 의원 “가상자산 빼놓고는 가계의 종합적인 재무현황 파악 어려워”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09-30 15:09:17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통계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계의 가상자산 보유 현황을 공개하지 않을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가계의 종합적인 재무현황을 담기 위한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신뢰성이 흔들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실시계획에 따르면, 통계청은 올해도 가계의 가상자산 현황을 조사했지만 집계·발표 대상에서 제외할 방침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2022년 시험조사를 실시한 이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포함된 가상자산 보유 현황은 단 한 차례도 공표되지 못했다.

 

통계청은 그 이유로 통계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고 있다. 실제 가계금융복지조사의 가상자산 보유자 비율과 가상자산 사업자 실태조사의 연령대별 가상자산 개인 이용자 규모간 괴리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20대의 보유 비율이 현저히 낮게 집계된 것이 대표적이다.

 

이는 가구 단위로 조사하는 통계청 방식의 한계 때문이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응답자가 주부 등 50대 이상에 집중되다 보니, 실제 가상자산을 주로 보유하고 있는 20~40대 가구원의 보유 여부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통계청은 가상자산 조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2023년 모바일 조사를 도입했다. 2024년에는 모바일 조사 참여 가구에 1만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응답한 가구가 38곳으로 불과할 정도로 응답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통계청은 이와 관련한 김영진 의원의 질의에 대해 공표 여부와 공표 방식에 대해 검토 중이라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내놨다.

 

김영진 의원은 국내 가상자산 이용자가 이미 1천만 명에 달하고 시가총액이 107조 원을 넘어선 상황에서, 가상자산은 가계의 중요한 자산 축으로 자리 잡았다, “가상자산을 빼놓고는 가계의 재무현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많은 정책의 기초가 되는 가계금융복지조사가 현실을 담아내지 못한다면 세밀한 정책 수립 역시 불가능하다가상자산을 비롯한 가계금융복지조사 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박정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